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연말정산 하는 이유 왜 할까

by 여름이오면 2022. 12. 13.

연말정산 하는 이유

 

 

근로자들의 급여는 유리 지갑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투명하게 관리되고 있는데요. 매달 급여에서 세금을 공제하면서 연말정산을 따로 하는 이유에 대해서 궁금한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오늘은 연말정산 하는 이유를 알아보려고 하는데요. 연말정산은 급여와 다르게 하는 사람에 따라서 차이 날 수 있다고 합니다.

 

연말정산 하는 이유에 관해 결론부터 말씀을 드리면, 직장인은 매달 급여를 수령하면서 세금을 내는데요. 이때 내는 세금을 원천징수라고 부릅니다. 국세청이 세무 행정 편의를 위해서 매월 미리 징수하고 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연말정산을 통해 실제로 납부해야 하는 소득세를 정확하게 계산(결정세액)하고, 원천징수 금액과 비교해서 차액을 돌려받거나 추가로 납부하게 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비과세 소득을 제외한 급여 총액에 소득 공제를 차감하여 산출세액을 구하고, 세액공제를 차감하여 근로자가 납부해야 하는 결정세액이 나오게 되는데요. 다양한 공제를 정부에서 미리 적용할 수 없고, 연말정산이라는 과정을 통해서 실제 소득액과 납부 세액을 계산한다고 합니다. 근로자 입장에서는 누구는 돌려받고, 누구는 추가 납부해야 하게 느껴져서 불편할 수 있는데요.

 

연말정산 하는 이유를 알고 한 해 동안 잘 준비하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연말 정산을 안 하면, 근로자에게 벌금이 나오거나 하지는 않는다고 해요. 국세청에서는 가지고 있는 자료로만 총급여액과 납부해야 할 세금을 계산하게 되는데요. 소득, 세액 공제 등을 받지 못하면서 납부하지 않아도 되는 세금을 내야 하는 일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중도 퇴사자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5월에 종합소득신고 기간을 이용해서 연말정산을 처리할 수 있고요. 지금까지 연말정산 하는 이유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참고로 홍콩, 싱가포르는 원천 징수가 없고, 5월 또는 8월에 1년 치 세금을 한 번에 납부한다고 합니다. 우리나라 방식과 비교해서 장단점이 있을 수 있는데요. 두 나라는 1년 치 세금을 한 번에 내서, 세금을 내는 달에 경제 위축이 발생하는 부작용이 있다고 하네요.

 

직장인이 아니면 연말정산을 할 필요는 없고요. 사업소득, 기타 소득은 연말정산이 아닌 5월 종합소득신고 대상으로, 근로자만 연말정산을 하다고 생각하면 좋을 것 같아요. 근로소득이 있더라도 전액 비과세 대상이면 연말정산을 할 필요가 없는데요. 지금까지 내용을 참고해 연말정산 하는 이유를 알아두시면 도움이 되지 않을까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