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공무원 직급체계, 승진조건

by 여름이오면 2023. 3. 18.

공무원 직급체계

 

 

공무원의 대부분은 일반직 공무원으로 공무원 직급체계가 정해져 있는데요. 일반직 공무원 외에 법관, 검사, 경찰, 소방, 군인 등은 별도의 직위 체계와 보수 체계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오늘은 일반직 공무원 직급체계를 살펴본다고 이해하면 좋을 것 같아요. 공무원 계급 간 권력 차는 위로 올라갈수록 커진다고 하는데요.

 

공무원 직급체계는 크게 8~9급, 6~7급, 1~5급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행시를 통과하면 5급부터 시작하고, 9급 또는 7급 시험으로 일반직에 지원할 수 있습니다. 9급은 서기보, 8급은 서기라고 부르고 있고요. 7급은 주사보, 6급은 주사라고 하며, 지자체에서는 계장으로 표현되고, 행정부에서는 주무관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보통 9급에서 7급으로 승진하는데 5년 또는 6년 정도 시간이 걸린다고 하고, 7급에서 6급으로 승진하기 위해서는 또 10년 정도 걸릴 수 있다고 합니다. 점점 승진하기 어렵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공무원 직급체계 5급부터 알아보면, 5급은 사무관급으로 계장 또는 과장, 동장 등이 있고요. 4급은 서기관이고, 3급은 부이사관으로 과장, 국장, 군수 등이 있습니다.

 

2급은 이사관이며 국장, 실장, 시장이 해당하므로 상당히 높은 직책임을 알 수 있는데요. 공무원 직급체계 1급은 실장, 부지사, 광역부지사, 시장 등이 해당합니다. 이 정도면 일반적인 공무원 직급체계를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참고로 9급~6급은 직급으로 부르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고 주무관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고요.

 

6급은 9급으로 시작한 공무원이 많이 퇴직하는 계급이라고 할 수 있어요. 예외로 국회직은 6급까지는 빠르게 승진시켜주어서, 6급이 많은 기관이라고 불리고 있다고 합니다. 공무원 직급체계는 근무하는 기관의 분위기에 따라서 직급이 가지고 있는 특성이 많이 바뀌는 것 같더라고요.

 

고위공무원단이라고 불리는 공무원 직급체계는 부이사관 '나'급부터라고 할 수 있는데요. 매년 심사를 통과해야 직급이 유지되고요. 대부분 사무관부터 올라온 사람들이 많고, 7급 또는 9급부터 올라오는 일은 거의 없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오랫동안 공무원 시험을 준비했었는데요. 요즘 생각해보면 빠르게 9급에 응시하는 것도 좋았을 것 같아요. 근무하면서 좀 더 공부하는 것도 나쁘지 않은 선택일 수 있고, 시간과 경력을 놓치는 부분이 아쉽더라고요. 지금까지 공무원 직급체계를 알아보았습니다.

 

댓글